안녕하세요! ‘팝콘 선생’입니다.
‘문화콘텐츠를 위한 100가지 아이템’ 코너를 시작합니다.
문화콘텐츠는 대학교에서 콘텐츠크리에이터를 위해서 개설하는 학제적인 과목이에요
보통 대학에는 전공이 있죠. 국어국문학전공, 미디어커뮤니케이션 전공, 신문 방송 전공, 컴퓨터 공학 전공 등이요.
그런데 대학교에서 여러 과목들 중 콘텐츠 크리에이터에게 필요한 내용들을 추려서 콘텐츠 크리에이터에게 필요한 앎을 제공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연구영역, 그것이 바로 학제적인 성격의 문화콘텐츠입니다.
문화콘텐츠는 학제적
여기서 학제적이란 ‘interdisciplinary’를 염두에 둔 말로, 다른 학문 분야와 제휴하고 관련을 맺는 융합적 성격이라는 의미이다. ‘transdisciplinary, multidisciplinary’의 성격 또한 가지고 있다.
어떤 한 컨텐츠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한 분야를 깊이 아는 것, 물론 그것도 굉장히 중요하지만 그렇게 깊이 알고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널리 들으면서 서로 가지고 있는 각자 학문의 장점을 다양하게 배우고 접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컬쳐 테크놀로지(CT)’라고 하는, 문화를 이끌어나가는 기술은 문화를 채우고 있는 내용(콘텐츠)만큼이나 사람들에게 굉장히 중요한 영역이죠.
문화콘텐츠와 컬쳐 테크놀로지(CT)
컬쳐 테크놀로지를 고민해야 하는 사람은 지금 문화를 생산하는 사람이 어떤 고민과 필요성을 가지고 있는가라는 걸 또한 알아야 하죠. 컬쳐 테크놀러지와 콘텐츠크리에이터 영역이 서로 자유롭게 교류하면서, 다양한 문제의식과 문제점, 그리고 그것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이 바로 문화컨텐츠 영역입니다.
문화컨텐츠 영역을 알아가고자 하고, 그리고 그럼으로써 컨텐츠 크리에이터가 되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가장 기초적인 입문에 해당하는,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알아야 할 100가지 아이템을 하나씩 살펴보는 시간을 출발하도록 하겠습니다.
콘텐츠 크리에이터를 꿈꾸는 친구들
모쪼록 콘텐츠 크리에이터를 꿈꾸는 친구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는 코너일 수 있도록 매 번의 글을 최선을 다해서 채워 가도록 하겠습니다.
100템! 오늘부터 시작합니다. 우리 자주 만나요. 백 번.
https://youtu.be/HqCWCeSXaic?si=ix8GNmDJMexwzpjl
'문화와 콘텐츠 > 문화콘텐츠를 위한 100템'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MU-원소스멀티유즈-문화콘텐츠 생산 원리-콘텐츠의 확장 (1) | 2024.01.30 |
---|